A theme of the age, at least in the developed world, is that people crave silence and can find none. The roar of traffic, the ceaseless beep of phones, digital announcements in buses and trains, TV sets blaring even in empty offices, are an endless battery and distraction. The human race is exhausting itself with noise and longs for its opposite—whether in the wilds, on the wide ocean or in some retreat dedicated to stillness and concentration. Alain Corbin, a history professor, writes from his refuge in the Sorbonne, and Erling Kagge, a Norwegian explorer, from his memories of the wastes of Antarctica, where both have tried to escape.
And yet, as Mr Corbin points out in "A History of Silence", there is probably no more noise than there used to be. Before pneumatic tyres, city streets were full of the deafening clang of metal-rimmed wheels and horseshoes on stone. Before voluntary isolation on mobile phones, buses and trains rang with conversation. Newspaper-sellers did not leave their wares in a mute pile, but advertised them at top volume, as did vendors of cherries, violets and fresh mackerel. The theatre and the opera were a chaos of huzzahs and barracking. Even in the countryside, peasants sang as they drudged. They don’t sing now.
What has changed is not so much the level of noise, which previous centuries also complained about, but the level of distraction, which occupies the space that silence might invade. There looms another paradox, because when it does invade—in the depths of a pine forest, in the naked desert, in a suddenly vacated room—it often proves unnerving rather than welcome. Dread creeps in; the ear instinctively fastens on anything, whether fire-hiss or bird call or susurrus of leaves, that will save it from this unknown emptiness. People want silence, but not that much. | 최소한 선진 세계에서 시대의 화두는 정적을 갈망하나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차량 소음, 끊임없는 폰 알림음, 버스와 전철 내 디지털 안내방송, 빈 사무실에서조차 울려퍼지는 TV 소리가 끝없이 소음을 공급하고 사람을 산만하게 만든다. 대자연에서든, 드넓은 바다에서든, 또는 고요함과 정적을 목적으로 한 휴양지에서든, 인류는 소음과 정적에 대한 갈망으로 제풀에 지쳐가고 있다. 역사학 교수 알랭 코르뱅은 소르본 대학 피신처에서, 노르웨이인 모험가 엘링 카게는 안타르티카 황무지에서 글을 쓰고 있으며, 둘 다 도피하기 위해 그리로 향했다. 그러나, 코르뱅 교수가 에서 지적했듯이, 아마도 과거에 비해 소음이 더 심하진 않을 것이다. 공기 타이어 발명 이전에 도심 도로는 귀청이 떨어질 듯한 금속테 바퀴와 말굽 소리 천지였다. 신문팔이들은 묵묵히 신문 더미를 쌓아두고 마는 게 아니라 목청껏 광고했으며, 체리, 제비꽃, 싱싱한 고등어를 파는 행상들도 마찬가지였다. 극장과 오페라는 환성과 야유의 혼돈이었다. 심지어 시골에서도 농부들이 일하며 노래를 불렀다. 지금은 노래를 부르지 않는다. 바뀐 것은 이전 세기에도 불평 거리였던 소음의 정도가 아니라, 산만함의 정도이며 이 산만함이 정적이 뒤덮일 자리를 대신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또 다른 역설이 대두되며, 깊은 소나무 숲, 훤히 드러난 사막, 갑자기 텅텅 빈 방에서 그러하듯 정적이 뒤덮이면 반갑기보다는 불안해지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두려움이 스물스물 밀려온다. 귀는 본능적으로 뭐든 포착하려 든다. 그게 불이 타닥거리는 소리든 새소리나 잎새가 부스럭거리는 소리든, 알지 못했던 공허함을 채워줄 것이다. 사람들은 정적을 원하지만 그 정도로는 아니다. |